1577번 - 도로의 개수
일단 당연히 dp를 사용하였고
무조건 최단거리로만 가야 한다고 조건이 주어졌으니
최단거리 알고리즘에다가 res라는 3차원 배열을 도입했습니다.
res[x][y][1] = -1이면 (x,y)에서 (x+1, y)로 갈수 없으며
res[x][y][0] = -1이면 (x,y)에서 (x, y+1)로 갈수 없도록
제한을 두었습니다.
반례를 발견하시거나 고쳐야 할 부분을 지적해주셨으면 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citizen 6년 전
일단 당연히 dp를 사용하였고
무조건 최단거리로만 가야 한다고 조건이 주어졌으니
최단거리 알고리즘에다가 res라는 3차원 배열을 도입했습니다.
res[x][y][1] = -1이면 (x,y)에서 (x+1, y)로 갈수 없으며
res[x][y][0] = -1이면 (x,y)에서 (x, y+1)로 갈수 없도록
제한을 두었습니다.
반례를 발견하시거나 고쳐야 할 부분을 지적해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