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를 A라고 이름붙이면요,
A(i, j)를 격자 A의 i번째 행, j번째 열에 위치한 칸의 값이라고 정의하면요~
격자 A에 대응하는 DP 표인 visited(i, j)를 만드셨잖아요?
visited(i, j)를 채워나가실 때,
visited(1, 1)을 제일 먼저 채우고 (1<=i<=격자 A의 높이, 1<=j<=격자 A의 너비),
그 다음엔 visited(1, 2), visited(2, 1)를 채우고...
이런식으로,
격자 visited의 / 방향 칸들을 채워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음.. 점화식을 세우신 걸 알려주시면
저런식으로 DP table을 채워나가시면, 세우신 점화식에 대한 반례가 있다는걸 찾을 수 있을거같아요.
wooljs 6년 전 1
테스트 케이스 만들어 본 것들에 대해서는 전부 통과합니다.
섭밋을 해보면 제출하자마자 틀렸다고 나오는데,
어느 부분에서 잘못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bfs + dp 스럽게 짰습니다.
(소스는 뒤에 분들을 위해 지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