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가 명시가 안되어있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시간복잡도에 영향을 안받더라고요. 굳이 영향을 받는 경우라면 뭐 아주 쉬운 문제거나 그랬던거 같아요. 보통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물론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조금 질이 떨어지는 대회같은 경우에는 TC 개수를 명시 안해주고 많이 주기도 했던거 같기도 하고.. 암튼 출제자로써 좋지 않은 관행인건 확실한거 같네요. http://codeforces.com/blog/entry/19122
11501번 - 주식
T가 명시가 안되어있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시간복잡도에 영향을 안받더라고요. 굳이 영향을 받는 경우라면 뭐 아주 쉬운 문제거나 그랬던거 같아요. 보통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물론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조금 질이 떨어지는 대회같은 경우에는 TC 개수를 명시 안해주고 많이 주기도 했던거 같기도 하고.. 암튼 출제자로써 좋지 않은 관행인건 확실한거 같네요. http://codeforces.com/blog/entry/19122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medic_programmer 7년 전
T의 범위는 대부분 명시되어있지 않은듯 한데요
이럴 경우 T는 20 이하? 의 시간복잡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라고 봐도 되는건가요? (실제 대회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