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77번 - 문제 하나 풀어볼래?
K=10이고 K+A=22 이면 22를 22번 적어서 22...22(44자리)일 것을 22...22(23자리)로 적을 수 있으니 만족도는 44-23=21 이라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C=0 일 때, 양심의 가책이 0이 되므로 만족도 L만 구하면 되는데, 답이 무한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K+A=33이면 만족도는 66-34=32, K+A=1001이면 만족도는 4004-1002=3002로 점점 커져서 질문 드립니다.
이게 상한이 있는 건가요?
K를 K번 쓰는 것보다 K+A를 K+A번 쓰는 것이 L만큼 더 짧다면 L만큼의 만족도를 얻습니다. 예제 설명으로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지만 문장은 조금 애매하네요.
같은 K일때 A가 커질수록 더 짧게 줄이는 만족도가 커지는 것이 아닌가해서요.
예를 들어, 111111을 111111번 적으려면 111111*6자리가 아닌 1을 111116번 적으면 가능하니 작은 K에 대해서 L이 더 커지는 것 아닌가요? (222222는 차이가 더 크고...)
제 답변을 이해하지 못하신 것 같습니다. 만족도는 K를 K번 쓰는 것과 비교해서 계산되는 값입니다. 예제 설명을 읽어 보세요.
아 이해했습니다. K를 K번 쓰는 것보다 더 길어지는 걸 자꾸 못 봤었네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joonas 8달 전
K=10이고 K+A=22 이면 22를 22번 적어서 22...22(44자리)일 것을 22...22(23자리)로 적을 수 있으니 만족도는 44-23=21 이라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C=0 일 때, 양심의 가책이 0이 되므로 만족도 L만 구하면 되는데, 답이 무한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K+A=33이면 만족도는 66-34=32, K+A=1001이면 만족도는 4004-1002=3002로 점점 커져서 질문 드립니다.
이게 상한이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