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0892029   3년 전

모든 원소를 사용하여 순열을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이 없어, 문제 이해에 혼선을 줍니다.

예제 케이스 또한

{}, {1}, {2}, {3}, {12}, {21}, {13}, {31}, {23}, {32}, {123}, {132}, {213}, {231}, {312}, {321} 로 여러 순열이 만들어질 수 있는데, 공집합을 제외한(숫자 자체가 성립이 안되니) 나머지로 경우의 수를 세도 1/3의 정답이 나오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수정되면 문제를 이해하는데 혼선이 적어질 것이라 생각되어 건의드리고자 합니다.

"이 집합의 순열을 합치면 큰 정수 하나를 만들 수 있다." -> "이 집합의 모든 원소를  순열로 합쳐서 큰 정수 하나를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변경 가능한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jh05013   3년 전

순열이라는 단어에는 "모든 원소를 정확히 한 번 사용한다"라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l0892029   3년 전

https://en.wikipedia.org/wiki/Permutation

제가 가정으로 생각하던 순열은 k-permutation이었군요. 기초 교육과정에서는 경우의 수 관점으로만 순열을 다루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넘겨짚게 된 것 같습니다.
(wiki에서도 다른 용도로서의 사용에 k-permutation에 대해서 언급하는군요.)

덕분에 단어 의미와 정의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