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june9721   1년 전

안녕하세요. 이전에 글을 작성하였지만, 제가 제대로 질문의 의도를 전달하지 못한 것 같아서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아래 코드와 같은 형식의 알고리즘이 있을 때, 시간복잡도는 Input N에 대한 O(N^2) 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익히 알고 있습니다.


문제를 풀 때, 알고리즘을 생각하고 해당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계산하여 제한 시간 내에 문제가 해결될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N이 이를테면 1 ~ 10000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시간복잡도 O(N^2) 으로는 특정 제한시간 내에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겠다고 판단했지만

실제로는 상수 k와 같은 작업에 의해, 분석한 시간복잡도와 별개로 시간초과가 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시간초과를 판단하기 위해 시간복잡도를 분석할 때 

웬만하면 상수를 생략하지 않고 함께 생각하여 시간을 계산하는것이 낫지 않나 라는 궁금증에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부족한 저에게 도움을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amsminn   1년 전

엄청 널널하지 않으면 상수도 생각해야하는것이 맞습니다

taejune9721   1년 전

감사합니다. 시간복잡도만 생각해선 또 안되겠군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