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6번 - 바이러스
문제 풀이 자체는 해결했기 때문에 코드는 생략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양방향 생각 안 하고 인접 행렬을 활용한 DFS로 구현했는데 틀렸다고 합니다.
뭐가 문제인가 고민을 하다가 graph[from][to] = 1에 graph[to][from] = 1을 추가해 양방향성을 반영했더니 맞았다고 하네요.
딱히 이 문제에서 그래프 간선의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건 제 두뇌의 한계탓일까요 ㅠㅜ
문제 예제 입력처럼 1 4가 입력됐을때 1->4 만 주어진 경우랑 1<->4로 주어진 경우 감염된 컴퓨터 개수 차이가 생기는 반례가 있는 건가요??
반례를 생각해봐도 떠오르질 않아서 질문 올립니다.
단방향인 경우 예제에서 2 -> 3 대신에 3 -> 2 가 입력으로 들어왔다면 3번 컴퓨터는 감염되지 않는다고 판단합니다.
아..그러네요... 간단히 생각해낼 수 있는건데 이걸 놓치다니...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faint 6년 전
문제 풀이 자체는 해결했기 때문에 코드는 생략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양방향 생각 안 하고 인접 행렬을 활용한 DFS로 구현했는데 틀렸다고 합니다.
뭐가 문제인가 고민을 하다가 graph[from][to] = 1에 graph[to][from] = 1을 추가해 양방향성을 반영했더니 맞았다고 하네요.
딱히 이 문제에서 그래프 간선의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건 제 두뇌의 한계탓일까요 ㅠㅜ
문제 예제 입력처럼 1 4가 입력됐을때 1->4 만 주어진 경우랑 1<->4로 주어진 경우 감염된 컴퓨터 개수 차이가 생기는 반례가 있는 건가요??
반례를 생각해봐도 떠오르질 않아서 질문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