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문제입니다. 별다른 태그가 붙어있지 않습니다.
미리 준비된 데이터의 입력을 하나씩 넣어보고, 미리 준비된 출력 파일과 제출된 소스의 출력을 비교합니다.
준비된 데이터를 모두 맞아야 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제출된 소스가 오답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채점을 즉시 중단하고, 그 결과를 최종 결과로 받게 됩니다.
제출 1 | 제출 2 | 제출 3 | 제출 4 | 제출 5 | |
---|---|---|---|---|---|
데이터 1 | |||||
데이터 2 | |||||
데이터 3 | |||||
데이터 4 | |||||
데이터 5 | |||||
최종 결과 |
문제의 출제자가 데이터를 그룹 지어 놓습니다. 각 그룹을 서브태스크라고 합니다. 기준은 출제자가 정하고, 이 내용은 문제에 적혀져 있습니다.
각 서브태스크는 배점을 가지고 있고, 문제의 총점은 서브태스크의 배점의 합과 같습니다.
각 서브태스크의 채점은 ACM-ICPC 스타일과 같습니다.
제출된 소스의 점수는 를 받은 서브태스크 배점의 합입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태스크에서 를 받은 경우에만 최종 결과가 입니다.
획득한 점수의 최댓값이 문제의 총점과 같지 않는 경우에는 부분 성공을 받게 됩니다.
모든 서브태스크에서 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래 기준을 이용해 최종 결과를 결정합니다.
소스 보기 페이지에서 각 서브태스크의 채점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채점 프로그램은 각 서브태스크를 별개의 문제로 생각하고 채점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제출을 여러 개의 채점 서버에서 동시에 채점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유로 인해서 채점 진행 상황(%)의 업데이트로 프로그램의 수행 시간을 유추할 수 없습니다. 또한, 모든 채점 서버가 채점을 진행 중인 경우에는 채점 진행 상황이 업데이트 되지 않고 멈추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출 1 | 제출 2 | 제출 3 | 제출 4 | 제출 5 | 제출 6 | |
---|---|---|---|---|---|---|
서브태스크 1 (10점) | ||||||
서브태스크 2 (15점) | ||||||
서브태스크 3 (20점) | ||||||
서브태스크 4 (25점) | ||||||
서브태스크 5 (30점) | ||||||
최종 결과 | 100점 | 25점 | 75점 | 30점 |
기본적으로 채점 방식은 ACM-ICPC 스타일과 같습니다. 하지만, 를 받더라도 채점을 계속 진행합니다.
각 입력 데이터를 제출된 소스에 넣어서 얻은 출력의 점수를 계산합니다.
제출된 소스의 점수는 각 데이터를 통해서 얻은 점수의 합입니다.
점수가 0점이면 로 결과가 변경됩니다.
제출 1 | 제출 2 | 제출 3 | 제출 4 | 제출 5 | 제출 6 | 제출 7 | |
---|---|---|---|---|---|---|---|
데이터 1 | 10점 | 9점 | 8점 | 10점 | |||
데이터 2 | 10점 | 6점 | 8점 | ||||
데이터 3 | 10점 | 2점 | 8점 | ||||
데이터 4 | 10점 | 8점 | 2점 | ||||
데이터 5 | 10점 | 7점 | 4점 | 1점 | |||
최종 결과 | 50점 | 32점 | 22점 | 1점 |
채점 프로그램과 소통하기 위해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함수를 구현하는 문제입니다. 함수 구현과 비슷합니다.
문제에서 제공하는 Sample Grader를 이용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ACM-ICPC 스타일 문제와 같지만, 를 받더라도 채점을 계속 진행합니다.
준비된 데이터 중 몇 개의 데이터를 맞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의 경우에는 채점 결과를 맞았습니다!! (맞은 데이터의 개수/전체 데이터의 개수)와 같은 형태로 보여지게 됩니다.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채점 결과를 소스 보기 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문제의 하단에 를 받을 수 있는 기준이 적혀있습니다. 만약, 기준이 적혀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의 개수가 기준입니다. 기준 이상의 데이터를 맞으면 를, 그 미만은 맞았습니다!!를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