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256 MB | 2831 | 932 | 643 | 32.070% |
승택이는 강을 건너려 한다.
승택이는 수영을 못하기 때문에, 강에 놓인 징검다리를 밟고 건너갈 것이다.
승택이는 수영은 못하지만 제자리뛰기는 정말 잘한다. 원하는 어느 곳으로든지 점프해서 바로 갈 수가 있다.
승택이는 이제 강의 한쪽 변 앞에 서 있다.
강엔 1번부터 시작해 2번, 3번, ... , N번 징검다리가 차례대로 놓여 있다.
강의 폭이 넓은 탓에 징검다리의 수는 엄청나게 많다.
이 징검다리를 모두 밟고 싶지는 않았던 승택이는 제자리뛰기 실력을 발휘해 적절한 개수의 징검다리만을 밟고 가기로 했다.
물론 강 건너편으로 바로 점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 재미있게 강을 건너기 위해 승택이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했다.
승택이가 위의 규칙을 지키며 강을 건널 때, 밟을 수 있는 징검다리의 최대 수는 몇 개일까?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정수 한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징검다리의 총 수 N을 의미한다. (1 ≤ N ≤ 1016)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한 줄에 승택이가 밟을 수 있는 최대 징검다리 수를 출력한다.
4 1 2 100 1000000
1 1 13 1413
University > 연세대학교 > 2015 연세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E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