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256 MB | 2016 | 711 | 592 | 34.988% |
해빈이는 로봇을 좋아한다. 로봇을 가지고 놀던 해빈이는 로봇에게 계속해서 명령을 내려 움직이는 대신 이동할 방향을 미리 지정하여 로봇이 알아서 움직이도록 하였다. 이 로봇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움직인다.
* * * x 0 * * * * <초기 상태> |
* 1 * x 0 * * * * <1번 째 이동> |
2 1 * x 0 * * * * <2번 째 이동> |
방 크기가 3* 3이고 장애물이 (1, 0)에 있으며 시작 위치는 (1,1) 해빈이가 지정한 방향이 (상, 하, 좌, 우) 일 때, 로봇의 마지막 위치는 (0, 0)이다. |
2 번째 이동이 끝난 후, 로봇은 움직일 수 없으므로 동작을 멈춘다. 로봇은 (1, 1) → (0, 1) → (0, 0)로 이동하였다. |
입력으로 방의 크기와 장애물의 개수, 각 장애물들의 위치, 로봇의 시작 위치, 이동 방향의 순서가 주어졌을 때 로봇이 멈추는 위치를 출력하시오. 위치 (0, 0)은 왼쪽 위를 가리키며 방의 크기가 R * C일 때 오른쪽 아래 위치는 (R - 1, C - 1)이 된다. (R은 세로의 크기를 C은 가로의 크기를 말한다.)
첫 번째 줄에는 방의 크기 R, C(3 ≤ R, C ≤ 1,000)가 입력된다. 두 번째 줄에는 장애물의 개수 k(0 ≤ k ≤ 1,000)가 입력된다. 다음 k개의 줄에는 각 장애물 위치 br(0 ≤ br ≤ R – 1), bc(0 ≤ bc ≤ C - 1)가 주어진다. 그 다음 순서대로 로봇의 시작 위치 sr(0 ≤ sr ≤ R – 1), sc(0 ≤ sc ≤ C - 1)와 이동 방향의 순서(총 4개가 입력되는데 1은 위 방향, 2은 아래 방향, 3은 왼쪽 방향, 4는 오른쪽 방향을 나타낸다)가 한 줄씩 입력된다. 로봇의 시작위치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없다.
로봇의 마지막 위치 r, c를 출력한다.
3 3 1 1 0 1 1 1 2 3 4
0 0
University > 서강대학교 > 2016 Sogang Programming Contest > Champion B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