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2 초 | 512 MB | 7153 | 3308 | 2145 | 43.982% |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지하철 2호선에는 51개의 역이 있고, 역과 역 사이를 연결하는 구간이 51개 있다. 즉, 정점이 51개이고, 양방향 간선이 51개인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2호선은 순환선 1개와 2개의 지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역에서 출발해서 계속 가면 다시 출발한 역으로 돌아올 수 있는 노선을 순환선이라고 한다. 지선은 순환선에 속하는 한 역에서 시작하는 트리 형태의 노선이다.
두 역(정점) 사이의 거리는 지나야 하는 구간(간선)의 개수이다. 역 A와 순환선 사이의 거리는 A와 순환선에 속하는 역 사이의 거리 중 최솟값이다.
지하철 2호선과 같은 형태의 노선도가 주어졌을 때, 각 역과 순환선 사이의 거리를 구해보자.
첫째 줄에 역의 개수 N(3 ≤ N ≤ 3,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역과 역을 연결하는 구간의 정보가 주어진다. 같은 구간이 여러 번 주어지는 경우는 없고, 역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임의의 두 역 사이에 경로가 항상 존재하는 노선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총 N개의 정수를 출력한다. 1번 역과 순환선 사이의 거리, 2번 역과 순환선 사이의 거리, ..., N번 역과 순환선 사이의 거리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4 1 3 4 3 4 2 1 2
0 0 0 0
6 1 2 3 4 6 4 2 3 1 3 3 5
0 0 0 1 1 2
5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18 18 19 19 20 20 21 21 22 22 23 23 24 24 25 25 26 26 27 27 28 28 29 29 30 30 31 31 32 32 33 33 34 34 35 35 36 36 37 37 38 38 39 39 40 40 41 41 42 42 43 43 1 11 44 44 45 45 46 46 47 34 48 48 49 49 50 50 5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2 3 4 1 2 3 4
서울 지하철 2호선 노선이다.
1번부터 43번까지는 역 번호와 일치하며, 성수역은 11번, 신도림역은 34번이다.
38 1 2 2 3 3 4 4 5 5 6 6 1 1 7 7 8 8 9 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18 18 19 19 20 20 21 21 22 22 23 23 24 24 25 25 26 26 27 27 28 28 29 29 30 30 31 31 32 32 33 33 34 34 35 35 36 36 37 37 38
0 0 0 0 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서울 지하철 6호선이다. 실제로는 일부 구간이 양방향이 아니다.
12 1 3 3 4 4 5 5 6 6 7 7 8 8 4 2 3 7 9 9 12 7 10 10 11
2 2 1 0 0 0 0 0 1 1 2 2
2489번: 응급센터 문제에 나와있는 예제 그래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