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512 MB | 1213 | 646 | 478 | 52.240% |
컴공 출신은 치킨집을 하게 되어있다. 현실을 부정하지 말고 받아들이면 마음이 편하다. 결국 호석이도 2050년에는 치킨집을 하고 있다. 치킨집 이름은 "호석이 두마리 치킨"이다.
이번에 키친 도시로 분점을 확보하게 된 호석이 두마리 치킨은 도시 안에 2개의 매장을 지으려고 한다. 도시는 N 개의 건물과 M 개의 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은 1번부터 N번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i 번째 도로는 서로 다른 두 건물 Ai 번과 Bi 번 사이를 1 시간에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로이다.
키친 도시에서 2개의 건물을 골라서 치킨집을 열려고 한다. 이 때 아무 곳이나 열 순 없어서 모든 건물에서의 접근성의 합을 최소화하려고 한다. 건물 X 의 접근성은 X 에서 가장 가까운 호석이 두마리 치킨집까지 왕복하는 최단 시간이다. 즉, "모든 건물에서 가장 가까운 치킨집까지 왕복하는 최단 시간의 총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물 2개를 골라서 치킨집을 열려고 하는 것이다.
컴공을 졸업한 지 30년이 넘어가는 호석이는 이제 코딩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줄 모른다. 알고리즘 퇴물 호석이를 위해서 최적의 위치가 될 수 있는 건물 2개의 번호와 그 때의 "모든 건물에서 가장 가까운 치킨집까지 왕복하는 최단 시간의 총합"을 출력하자. 만약 이러한 건물 조합이 여러 개라면, 건물 번호 중 작은 게 더 작을수록, 작은 번호가 같다면 큰 번호가 더 작을수록 좋은 건물 조합이다.
첫 번째 줄에 건물의 개수 N과 도로의 개수 M 이 주어진다. 이어서 M 개의 줄에 걸쳐서 도로의 정보 Ai , Bi 가 공백으로 나뉘어서 주어진다. 같은 도로가 중복되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어떤 두 건물을 잡아도 도로를 따라서 오고 가는 방법이 존재함이 보장된다.
한 줄에 건물 2개가 지어질 건물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하고, 그때 모든 도시에서의 왕복 시간의 합을 출력한다.
만약 건물 조합이 다양하게 가능하면, 작은 번호가 더 작은 것을, 작은 번호가 같다면 큰 번호가 더 작은 걸 출력한다.
5 4 1 3 4 2 2 5 3 2
1 2 6
위의 그림과 같이 1번과 2번 건물에 치킨집을 짓게 되면 1번부터 5번 건물에 대해 치킨집까지의 왕복 시간이 0, 0, 2, 2, 2 로 최소가 된다. 2번과 3번 건물에 지어도 동일한 왕복 시간이 나오지만 더 작은 건물 번호를 출력해야 함을 유의하자.
Contest > 류호석배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 제2회 류호석배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4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