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추가 시간 없음) | 1024 MB (추가 메모리 없음) | 361 | 130 | 120 | 64.516% |
때는 2223년, 이제 인류는 화성을 테라포밍한 것을 넘어 그 표면에 수많은 궤도 엘리베이터를 건설했다.
2백 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범우주적 대기업 AI Network의 본사도 화성에 있다. AI Network의 본사는 총 $N$층이고, 역시 궤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해 층간 이동을 한다.
오늘 처음으로 이곳에 출근을 한 아인(AIN)이는 기숙사가 있는 $S$층에서 궤도 엘리베이터를 작동시켰고, 회사로부터 전달받은 궤도 엘리베이터 작동 커맨드(Command)를 입력해서 무사히 사무실이 있는 층에 도착했다.
궤도 엘리베이터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
): $v$를 $A_f$만큼 증가시킨다.-
): $v$를 $A_f$만큼 감소시킨다.0
): $v$를 변화시키지 않는다.퇴근 시간이 되었을 때, 아인이는 자신이 출근하는 커맨드는 받았지만 퇴근하는 커맨드는 받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인이가 퇴근도 무사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자.
첫 번째 줄에 AI Network 본사의 총 층수 $N$과 아인이의 기숙사가 있는 층 $S$가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 각 층에 있는 가속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 $A_1, A_2, \cdots, A_N$이 주어진다.
세 번째 줄에 아인이가 출근할 때 사용했던 커맨드가 주어진다. 커맨드는 +-0
로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각 문자의 의미는 문제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첫 번째 줄에 입력 형식과 같은 방법으로 사무실이 있는 층에서 아인이의 기숙사가 있는 층으로 퇴근하기 위한 커맨드를 출력한다. 가능한 커맨드가 여러 가지일 경우 그중 아무것이나 출력한다.
6 1 1 1 1 1 1 2 ++0-
-+00+
먼저, 전달받은 출근 커맨드를 살펴보자.
층 | 가속기 성능 | 커맨드 | 속도 변화 | 층 변화 |
---|---|---|---|---|
$1$ | $1$ | + |
$0 \xrightarrow{+1} 1$ | $1 \xrightarrow{+1} 2$ |
$2$ | $1$ | + |
$1 \xrightarrow{+1} 2$ | $2 \xrightarrow{+2} 4$ |
$4$ | $1$ | 0 |
$2 \xrightarrow{\pm 0} 2$ | $4 \xrightarrow{+2} 6$ |
$6$ | $2$ | - |
$2 \xrightarrow{-2} 0$ | $6 \xrightarrow{\pm 0} 6$ |
모든 커맨드가 처리되고 난 후 $6$층에 속도 $0$으로 도착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예시로 주어진 퇴근 커맨드를 살펴보자.
층 | 가속기 성능 | 커맨드 | 속도 변화 | 층 변화 |
---|---|---|---|---|
$6$ | $2$ | - |
$0 \xrightarrow{-2} -2$ | $6 \xrightarrow{-2} 4$ |
$4$ | $1$ | + |
$-2 \xrightarrow{+1} -1$ | $4 \xrightarrow{-1} 3$ |
$3$ | $1$ | 0 |
$-1 \xrightarrow{\pm 0} -1$ | $3 \xrightarrow{-1} 2$ |
$2$ | $1$ | 0 |
$-1 \xrightarrow{\pm 0} -1$ | $2 \xrightarrow{-1} 1$ |
$1$ | $1$ | + |
$-1 \xrightarrow{+1} 0$ | $1 \xrightarrow{\pm 0} 1$ |
해당 커맨드로 $6$층에서 $1$층으로 무사히 퇴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3 5 3 2 7 1 4 3 1 6 5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