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128 MB | 373 | 117 | 78 | 28.467% |
강산이는 2012년 런던 올림픽을 본 이후로 취미로 양궁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생각만큼 양궁은 쉬운 스포츠가 아니었다.
좀처럼 잘 되지 않자 강산이는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양궁을 생각해냈다.
새로운 양궁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위는 두 개의 타겟이 있는 게임의 예시이다. 플레이어는 원점에서 화살을 쏜다.
각 선수는 어떤 방향으로든 화살을 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의 경우, 플레이어가 s방향으로 화살을 쏜다면 타겟 T1과 T2 모두를 관통하게 된다. 이 예제에서, 플레이어가 두 개의 타겟을 노릴 수 있는 영역은 한 군데이며, 한 개의 타겟을 노릴 수 있는 영역은 두 군데임을 알 수가 있다. 각 타겟의 끝점을 스치는 화살도 타겟을 관통한 것으로 친다.
강산이는 이 양궁이 아주 마음에 들었다. 특히나, 어떤 선수가 화살을 쏠 때 과연 몇 개의 타겟을 맞힐 수 있을 지를 계산하는 것이 아주 재미있었다.
강산이의 즐거움을 여러분도 체험하기 위해, 각 타겟의 시작점과 끝점이 주어질 때 화살 한 발로 맞힐 수 있는 타겟 수의 기댓값을 구해보도록 하자.
첫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 ( 1 ≤ T ≤ 100 )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줄엔 타겟의 수 N이 주어진다. ( 1 ≤ N ≤ 100 )
이어 N줄에 걸쳐 네 개의 정수 X 1 Y1 X2 Y2가 주어진다. 이는 타겟이 (X1, Y1)에서 시작하여 (X2, Y2)에서 끝나는 선분의 형태로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 -100 ≤ X1, Y1, X2,Y2 ≤ 100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화살 한 발로 맞힐 수 있는 타겟 수의 기댓값을 소수점 여섯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다섯 번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2 2 1 5 3 3 3 5 6 2 8 3 0 0 3 0 3 -3 0 -3 0 0 -3 0 -3 3 0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0.20636 2.00000
ICPC > Regionals > Africa and Arab > Arab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 2012 Arab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G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