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약자들에 대해 다룬 글이 하나쯤은 있었을 것 같지만,
잘 나오지 않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런 종류의 글은 백준 블로그에 어울리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지만, 저도 처음 써보는 거라 이상한 점 있으시면 피드백 주세요^^
OJ들 (Online Judge)
- BOJ: Baekjoon Online Judge
- CF: Codeforces
- 앳코: Atcoder
- LA: Live Archive
- WF: World Finals
- USACO: USA Computing Olympiad
- AOJ: Algospot Online Judge
기본 용어들
- PS: Problem Solving (문제 풀이)
- CP: Competitive Programming (경쟁 프로그래밍)
- CS: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
-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 (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
- 맞왜틀: 맞는 것 같은데 왜 틀리지
- 틀왜맞: 틀릴 것 같은데 왜 맞지
- 솔브닥: Solved.ac 티어 안내 서비스
- 업솔빙: $\frac{absorbing + upsolving}{2}$ (≈대회 때 못 푼 문제/헷갈리는 문제를 곱씹어보는 과정)
- 예제: 문제에서 주어진 input과 output
- 테케: 테스트 케이스의 약자로, 예제의 일반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 통용해서 사용함.
- 올솔: All Solve! 다 풀어낸 경우
채점 결과
- AC: Accepted = 맞았습니다!!
- CE: Compile Error = 컴파일 에러
- MLE: Memory Limit Exceeded = 메모리 초과
- PE: Presentation Error = 출력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 OLE: Output Limit Exceed = 출력 초과
- RE: Runtime Error = 런타임 에러
- TLE: Time Limit Exceeded = 시간 초과
- WA: Wrong Answer = 틀렸습니다
- 더 참고할 만한 것들: 링크1